ㄱ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체하는 등의 방법으로 추가 정보가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하는 방식
소프트웨어 기술에 의해 하드웨어를 생략하고 실제 물리적인 상태가 존재하는 것과 같이 구성하여 처리하는 개념
가상 기술을 적용하여 한 대의 컴퓨터에서 여러 대의 가상 서버를 올려 가동하는 서버
패킷 또는 메시지를 전송할 때 다양한 회선 구성을 통해 설정할 수 있는 발신 장치와 수신 장치 사이의 가상 회선 경로
기계에 실제로 이용 가능한 기억 자원을 이상적으로 추상화하여 사용자들에게 매우 큰 주 메모리로 보이게 만드는 메모리 관리 기법으로 가상 메모리라고도 함
가상 데스크톱 인프라 시스템 기술로, 가상 데스크톱 생성 블록 및 연결 블록/자원 관련 블록/서비스형 데스크톱(DaaS) 클라이언트 플랫폼 SW 블록 등으로 구분되며 각 블록은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형태로 동작
-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는 공공 클라우드, 의료존에 대한 VDI를 운영 중
물리적인 하드웨어 시스템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카카오 i 클라우드에서 OpenStandard IaaS 서비스로 제공 중
-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 필요한 환경 요구사항에 맞춰 서버를 간편하게 생성하여 서비스 가능
사용자 정의 사설 네트워크 서비스로, 카카오 i 클라우드에서 OpenStandard IaaS 서비스로 제공 중
- 사용자가 여러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조합해 사용자 환경에 적합한 네트워크를 빠르고 편하게 구축할 수 있는 기능
공중망(인터넷)을 이용해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통신망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솔루션
- 멀리 떨어진 네트워크 환경을 하나의 안전한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역할 수행
- VPN을 이용하면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모든 트래픽을 암호화하므로, IP 트래픽이 공공 TCP/IP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하게 이동 가능
PC와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IP 네트워크상의 특정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집, 관리, 수정하여 장치의 동작을 변경하는 데 사용되며,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TCP/IP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파일 전송 규약(FTP)보다 단순한 방식으로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용 인터넷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 검증과 디렉터리 투명성을 요구하는 곳에서 주로 사용됨
객체 지향적 사고방식을 기반으로, 시스템 혹은 시스템 구성 요소를 메시지 교환을 통해 상호 통신하는 객체의 집합으로 보는 소프트웨어 개발 기법
EGP(Exterior Gatewary Protocol)를 대치하는 도메인 간 라우팅 프로토콜로, 2개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사용할 때 균형을 위해 다른 BGP(Border Gatewary Protocol) 시스템과 연관된 라우팅 정보를 교환
X.500을 기반으로 디렉터리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규약으로, 양방향 읽기/쓰기가 가능한 관리 및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
가용성이 높다는 뜻으로, 서버와 네트워크, 프로그램 등의 정보 시스템이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정상 운영이 가능한 성질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 사이트 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접근 위임을 위한 개방형 표준
개인 키와 공용 키를 사용하는 체계이며, 데이터를 암호화할 경우에는 공개 키를 사용하고 이후 복호화 시에는 개인 키를 사용하는 암호 방식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서로 달라 암호화 키를 공개하더라도 개인이 소지하는 복호화 키를 통해 통신 비밀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
- 일반적으로 관용 암호 시스템은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서로 동일
일명 '전용 회선'으로, 방대한 지역에서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종종 일반적인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전송 서비스를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이미지나 문서에 포함된 글자를 인식하는 기술로, 사업자등록증 같은 문서에서 사업자번호, 상호 등을 추출 가능
- 카카오 i 클라우드에서는 AI 서비스로 제공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 목적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많은 데이터베이스 관련 프로그램들이 SQL을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음
여러 나라의 표준 제정 단체에 의해 결성되어 나라마다 다른 산업, 통상 표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기구
이용자가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컴퓨터 시스템 중의 특정 장치나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파일 중의 데이터를 읽어내어 수정하고 삭제하거나 또는 다른 장소에 기억하는 행위를 보증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을 하나로 모아 놓은 자료 구조
광역 통신망과 반대 개념으로, 네트워크 매체를 이용하여 집, 사무실, 학교 등의 건물과 같은 가까운 지역을 한데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
Kakao Home Extension Service에서 Extension Service 서버가 자신이 제공하는 기기의 연결 정보를 Kakao Home 서버에 보고하는 것
일명 '베이스 레지스터'로, 하나의 루틴 또는 데이터 블록에 대해 기준이 되는 주소를 축적하는 레지스터
- 보통 기준 주소에 상대 주소를 더해 절대 주소를 얻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