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은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SDK를 사용하여 고객사의 서비스를 개발할 때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고 관련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콘솔입니다. 콘솔에서 제공하는 대표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 URL
- 서비스 사용 현황 확인하기
- 서비스 인증 정보 확인 및 관리하기
- 워크스페이스별 멤버 및 서비스 관리하기
사이트명 | URL |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 | https://console.connectlive.kakaoi.ai/ |
메인 화면 구성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의 메인 화면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콘솔 메인 화면
구분 | 설명 |
---|---|
① 대시보드 화면 | 서비스의 사용 현황을 알려주는 대시보드 |
② Dashboard | 서비스 사용 현황 확인할 수 있는 메뉴 |
③ Develop | 서비스 개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 - SDK 설치 및 인증 정보, 서비스 기본 정보, 개발 소스/커뮤니티 정보 확인 가능 |
④ 워크스페이스 관리 | 워크스페이스 정보 확인과 서비스 및 멤버 관리할 수 있는 메뉴 - 자세한 정보는 워크스페이스 관리 참고 |
콘솔 시작하기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 계정을 생성하고 로그인해야 합니다.
콘솔 계정 생성하기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서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 계정을 생성합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 후, [회원가입]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콘솔 회원가입
-
계정 생성에 사용할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인증]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콘솔 이메일 인증
-
수신한 이메일을 확인 후, [이메일 인증 완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이메일 인증 완료
-
회원가입에서 정보를 입력하고, [가입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회원가입하기
콘솔 로그인하기
콘솔 계정 생성하기에서 생성한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 계정으로 콘솔에 로그인합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합니다.
-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여 콘솔에 로그인합니다.
그림콘솔 로그인
-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콘솔 로그인 환영
-
워크스페이스 설정 팝업창에서 정보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워크스페이스 설정
-
서비스 생성 팝업창에서 정보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서비스 생성
-
서비스 생성 완료 팝업창에서 정보를 확인한 후, [바로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서비스 생성 완료
콘솔 기본 기능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서 제공하는 기본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비스 사용 현황 확인하기
서비스의 사용 시간, 참여자, 참여자의 서비스 평균 참여 시간 등 서비스 사용 현황을 대시보드 형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 후, Dashboard 메뉴를 클릭합니다.
-
Dashboard에서 서비스 사용 현황을 확인합니다.
그림서비스 사용 현황
구분 설명 사용 시간(분) 서비스(애플리케이션) 일별 사용 시간
- room 탭 클릭 시 생성된 일별 Room 개수 확인 가능사용 시간 누적 사용 시간과 기본 제공 대비 남은 시간/초과시간 참여자 room에 참여한 참여자 수 평균 참여 시간 참여자들의 평균 참여 시간 브라우저별 사용자 브라우저별 서비스 사용자 운영체제별 사용자 운영체제별 서비스 사용자
SDK 설치 및 인증 정보 확인하기
운영체제별 SDK 설치 및 인증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DK 설치 및 인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카카오 i 기술문서] Kakao i Connect Live 2.0 > 개발자 가이드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 후, Develop 메뉴를 클릭합니다.
-
Develop > 시작하기에서 인증방식에 따라 SDK 설치 및 인증 정보를 확인합니다.
커넥트 라이브 인증
그림시작하기 - 커넥트 라이브 인증
구분 설명 설치 SDK 설치 정보 제공 서비스 인증 정보 제공 서비스 ID 각 워크스페이스에 할당되어있는 공개 ID로, 서비스 구분에 활용되는 유일값
- 커넥트 라이브 내부 인증 방식과 서비스 자체 인증 방식에 모두 필요서비스 시크릿 API 호출 시 인증을 위한 필수값으로, 외부 유출에 유의 필요
- 커넥트 라이브 내부 인증 방식에만 필요어드민 시크릿 관리자용 Admin API를 호출 시 필요한 인증값 Web / iOS / AOS / ADMIN 운영체제별 설치 및 인증 방법 제공 서비스 자체 인증
그림시작하기 - 서비스 자체 인증
구분 설명 설치 SDK 설치 정보 제공 서비스 인증 정보 제공 서비스 ID 각 워크스페이스에 할당되어있는 공개 ID로, 서비스 구분에 활용되는 유일값
- 커넥트 라이브 내부 인증 방식과 서비스 자체 인증 방식에 모두 필요인증 토큰 서비스 자체에서 발급한 인증 토큰 Web / iOS / AOS 운영체제별 설치 및 인증 방법 제공
서비스 기본 정보 확인하기
서비스 ID, 활성 상태 등 서비스 기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 후, Develop 메뉴를 클릭합니다.
-
Develop > 서비스 정보에서 서비스 기본 정보를 확인합니다.
그림서비스 기존 정보
구분 설명 서비스 ID 서비스의 고유 ID 서비스 상태 서비스의 활성 상태
- 활성: 서비스가 활성화된 상태
- 비활성: 서비스가 비활성화된 상태인증 방식 서비스 인증 방식
- 커넥트 라이브 인증: SDK 기본 인증 방식
- 서비스 자체 인증: 고객사의 자체 인증 방식
개발 소스/커뮤니티 정보 확인하기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는 개발 가이드, 개발 샘플 등의 개발 관련 소스를 제공하고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발 소스/커뮤니티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 후, Develop 메뉴를 클릭합니다.
-
Develop > Dev 리소스에서 이동할 Dev 리소스를 클릭합니다.
그림개발 소스/커뮤니티 정보
구분 설명 개발 가이드 SDK, API 개발 가이드 등 문서 제공 Code Samples SDK 예제 샘플을 제공 Self Test 네트워크 오류 등 이슈를 셀프로 점검 커뮤니티 커뮤니티의 Q&A를 통해 이슈 해결 블로그 WebRTC 트렌드와 활용 사례 제공
서비스 인증 정보 관리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서는 서비스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인증 정보 확인하기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2.0 SDK의 signIn() 메서드를 호출할 때 필요한 서비스 인증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 후,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를 클릭합니다.
-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 > 서비스 목록에서 인증 정보를 관리할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
인증에서 서비스 인증 정보를 확인합니다.
커넥트 라이브 인증
그림인증 - 커넥트 라이브 인증
구분 설명 인증 방법 서비스의 구현 방식, 사용 목적 및 보안 요구 사항에 따라 인증 방식 선택
- 커넥트라이브 인증: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SDK 2.0의 기본 인증 방식
-서비스 자체 인증: 서비스별 고유 인증 방식서비스 ID 각 워크스페이스에 할당되어있는 공개 ID로, 서비스 구분에 활용되는 유일값
- 커넥트 라이브 내부 인증 방식과 서비스 자체 인증 방식에 모두 필요서비스 시크릿 API 호출 시 인증을 위한 필수값으로, 외부 유출에 유의 필요
- 커넥트 라이브 내부 인증 방식에만 필요어드민 시크릿 관리자용 API인 Admin API를 호출 시 필요한 인증값 그림인증 - 서비스 자체 인증
구분 설명 인증 방법 서비스의 구현 방식, 사용 목적 및 보안 요구 사항에 따라 인증 방식 선택
-커넥트라이브 인증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SDK 2.0의 기본 인증 방식
-서비스 자체 인증
: 서비스별 고유 인증 방식토크 확인 서버 URL 토큰을 확인할 고객사 서버 URL 서비스 ID 각 워크스페이스에 할당되어있는 공개 ID로, 서비스 구분에 활용되는 유일값
- 커넥트 라이브 내부 인증 방식과 서비스 자체 인증 방식에 모두 필요토큰 확인 가이드 서비스 자체 인증 방법 사용 시 고객의 토큰 응답 방법
서비스 시크릿 추가하기
서비스 시크릿은 API 호출 시 인증을 위한 필수값이며 프로젝트 생성 시 자동 생성됩니다. 동일 서비스이지만 서비스 시크릿을 추가하여 버전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 후,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를 클릭합니다.
-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 > 서비스 목록에서 인증 정보를 관리할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
인증에서 서비스 시크릿 추가를 클릭 후, 서비스 시크릿을 추가합니다.
그림서비스 시크릿 추가
서비스 시크릿 삭제하기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 시크릿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시크릿 키를 삭제하면 해당 키로 인증된 서비스 이용이 제한됩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 후,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를 클릭합니다.
-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 > 서비스 목록에서 인증 정보를 관리할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
인증에서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서비스 시크릿 삭제
워크스페이스 관리
워크스페이스 관리에서는 워크스페이스 정보 확인, 서비스 및 멤버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별로 미디어 설정, 녹화 기능, 서비스 활성 상태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워크스페이스 관리 화면 구성
워크스페이스 관리 화면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워크스페이스 관리 화면
구분 | 설명 |
---|---|
워크스페이스 정보 관리 | |
[저장] 버튼 | 워크스페이스 이름 및 설명을 수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 |
워크스페이스 ID | 워크스페이스의 ID |
이름 | 워크스페이스의 이름 |
설명 | 워크스페이스의 설명 |
서비스 정보 관리 | |
[서비스 생성] 버튼 | 워크스페이스에 새 서비스 생성 - 자세한 설명은 서비스 생성하기 참고 |
이름 | 서비스의 이름 |
ID | 서비스의 ID |
생성일 | 서비스를 생성한 날짜 |
소유자 | 서비스 소유자의 이메일 주소 |
유형 | 서비스의 유형 |
상태 | 서비스의 활성 상태 - 활성 : 서비스가 활성화된 상태 - 비활성 : 서비스가 비활성화된 상태 |
플랜정보 | 현재 구독 중인 플랜 |
멤버 정보 관리 | |
[멤버 추가] 버튼 | 워크스페이스에 새 멤버를 추가 - 자세한 설명은 멤버 추가하기 참고 |
이메일 | 워크스페이스에 추가된 멤버의 이메일 |
초대일 | 해당 멤버가 워크스페이스에 추가된 날짜 |
상태 | 해당 사용자의 권한 - 현재 멤버만 존재 |
설정 | [휴지통] 아이콘을 클릭하여 멤버를 삭제 - 삭제된 멤버는 해당 워크스페이스 접근이 제한됨 |
안내
서비스 생성은 최대 5개까지 가능합니다. 추가 생성이 필요하실 경우 기존 서비스를 삭제하거나, c.livetech@kakaoenterprise.com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비스 생성하기
서비스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개발을 진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개수만큼 신규 서비스를 생성해야 합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 후,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를 클릭합니다.
-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 > 서비스에서 [서비스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서비스 생성
-
서비스 생성 팝업창에서 정보를 입력하고,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서비스 생성하기
구분 설명 서비스 이름 추가하려는 서비스의 이름
- 글자 수: 10글자로 제한
- 영문/한글/숫자만 입력 가능설명 서비스에 대한 설명 추가 서비스 유형 해당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
-Video
: 영상 기반 서비스
-Audio
: 음성 기반 서비스
서비스 삭제하기
기존 서비스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 후,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를 클릭합니다.
-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 > 서비스 목록에서 삭제할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그림서비스 삭제
-
삭제에서 [삭제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서비스 삭제하기
멤버 추가하기
워크스페이스에 새 멤버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현재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서는 멤버 권한만 존재하며, 초대받은 멤버도 초대한 멤버와 동일한 권한을 부여받게 됩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 후,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를 클릭합니다.
-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 > 멤버에서 [멤버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멤버 추가
-
멤버 추가 팝업창에서 정보를 입력하고,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멤버 추가하기
멤버 삭제하기
워크스페이스의 기존 멤버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 후,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를 클릭합니다.
-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 > 멤버에서 삭제할 멤버의 행 우측 끝에 위치한 [삭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그림멤버 삭제
-
멤버 삭제 팝업창에서 정보를 확인하고,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멤버 삭제하기
미디어 설정하기
콘솔에서 음성 코덱, 음성 동시 재생 등 미디어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 후,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를 클릭합니다.
-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 > 서비스 목록에서 미디어 설정할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
미디어 설정에서 미디어 설정을 수행합니다.
그림미디어 설정
구분 설명 음성 코덱 음성 코덱
-OPUS
로 고정음성 동시 재생 동시에 재생될 수 있는 미디어 개수 설정
- 설정값인3
,4
,5
중 선택 가능영상 코덱 영상 코덱 유형 선택
- 유형:VP8
,VP9
,H264
영상 프로파일 영상 프로파일 설정
- Low:256
,384
,512
kbps 중 선택
- Middle:512
,640
,768
kbps 중 선택
- High:1024
,1408
,1729
kbps 중 선택
녹화 기능 사용하기
서비스 계약 시 녹화 기능을 신청했을 경우,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에 녹화 기능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안내
녹화 기능은 유료 요금제(StartUP, Basic, Premium)만 사용할 수 있으며, 계약 시 별도의 사용 요청을 신청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 후,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를 클릭합니다.
-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 > 서비스 목록에서 녹화할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
웹훅 URL을 입력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녹화 기능(유료 요금제)
구분 설명 녹화 상태 녹화 기능의 활성 상태
-활성
: 녹화 기능을 사용 가능
-비활성
: 녹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별도 계약 문의 필요웹훅 URL 녹화본을 수신할 URL
- 녹화 상태가활성
인 경우에만 입력 가능
서비스 활성/비활성 하기
서비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비활성화 시 앱 사용이 불가하며, 과금도 중단됩니다.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 접속 후,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를 클릭합니다.
-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 > 서비스 목록에서 활성 상태를 설정할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
활성에서 서비스의 활성 상태를 선택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서비스 활성/비활성
구분 설명 서비스 상태 서비스의 활성 상태 설정
-활성
: 서비스가 활성화된 상태
-비활성
: 서비스가 비활성화된 상태(서비스 비활성화 시 앱 사용도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