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kao i Connect Live 2.0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Kakao i Connect Live)는 개발자들이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 서비스를 쉽게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CPaaS: Communication Platform as a Service)입니다.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는 기기 성능이나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최적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구현을 위한 개발 도구인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SDK 2.0과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기본적으로 통화형 서비스, 방송형 서비스, 회의형 서비스의 구현을 지원하며, 이런 서비스를 통합한 하이브리드 서비스의 구현도 가능합니다.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는 한국에서 가장 오랫동안 운영되고 있는 클라우드 기반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으로서, 개발뿐만 아니라 운영에 필요한 경험과 안정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 기술을 기반으로 어떠한 라이브 스트리밍 기술보다 빠른 레이턴시(Latency)와 우수한 호환성을 제공합니다.
현재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는 엔터테인먼트, 커머스, 교육, 의료, 공공 분야 등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방송과 통화 서비스 분야에서 다방면으로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림Kakao i Connect Live
주요 서비스 및 기능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는 모든 WebRTC 인프라뿐만 아니라 통화, 방송, 회의 및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SDK 2.0을 제공합니다. SDK를 활용하면 개발자는 직접 WebRTC 또는 백엔드(Back-end) 인프라를 개발할 필요 없이 보다 쉽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가 지원하는 주요 서비스 및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주요 기능주요 기능 | 설명 |
---|---|
클라우드 기반 라이브 스트리밍 서버 제공 |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비용과 규모, 자원이 최적화된 서버/스트리밍/글로벌 인프라 제공 - 커넥트라이브가 제공하는 미디어 송출과 시청을 위해 SDK와 함께 사용 |
네이티브 SDK | 통화, 회의, 방송을 위한 Room을 개설하여 다른 참여자가 참가하는 방식 구현 - 대부분 웹브라우저와 안드로이드, iOS 플랫폼에 대한 네이티브 SDK 제공 |
글로벌 리전 서비스 |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사용 가능한 글로벌 리전 서비스 지원 - 별도 계약 필요 |
영상 녹화 | 통화나 방송, 회의 등에서 혼합된 형태의 영상 녹화 기능 제공 - 2023년 지원 예정 |
통계 및 분석 | 개별 방송에 대한 통계 및 분석 기능 제공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콘솔에서 확인 |
실시간 이벤트 메시징 엔진 지원 | 영상, 음성, 데이터에 기반한 대량의 이벤트 처리용 API를 제공하여 채팅이나 실시간 이벤트 처리 |
1:1 텍스트 및 이미지 채팅 | 텍스트와 이미지를 포함한 단순한 채팅 지원 |
Admin API 제공 | 관리자가 진행 중인 방송을 조회하고 강제로 종료 |
웹 콘솔 제공 | 통화량을 조회하고 오류를 찾아 실시간 수정 가능 |
AI 기반 기능 확장 가능 | 배경 흐리게 처리 등 다양한 효과 제공 - 지원 예정 |
안내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는 VoD(Video On Demand), IoT 관련 기능, Push 알림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활용 사례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SDK 2.0을 활용하면 통화, 방송, 회의 등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쉽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객사의 개발 환경이나 구현 목적에 따라 부적합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을 참고하여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의 활용 여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적합한 경우
- 모바일/웹 서비스를 개발하여 운영 중이지만, 실시간 스트리밍 기술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는 경우
- SaaS(Software-as-a-Service)나 솔루션보다 차별화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개발을 원할 경우
- WebRTC나 라이브 스트리밍에 대한 경험과 기술은 있지만, 운영과 개발 비용 등을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
- 서버 운영 없이 1초 미만의 레이턴시(Latency)의 생방송 라이브 방송, 통화, 회의 서비스를 개발 및 운영을 원하는 경우
부적합한 경우
- VOD 서비스나 유튜브 같은 동영상 플레이 서비스 경우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는 라이브 미디어만 지원합니다. - 개발 과정 없이 바로 오픈하거나 서비스 개발을 의뢰하고 싶은 경우
→ 현재 개발자를 위한 개발 환경만 제공하며 서비스 개발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다만, 최소한의 개발로 비즈니스 서비스를 임베딩(Embedding) 할 수 있는 상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ARM(Advanced RISC Machine)이나 자체 개발한 임베디드 기기의 카메라나 마이크 모듈 등을 이용하여 IoT용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발하고 싶은 경우
→ 현재 IoT 관련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 알림 기능이 필요한 경우
→ Push 등 알림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지원 서비스
최적의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구현을 위한 개발 도구인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SDK 2.0과 클라우드 인프라를 사용하여 통화형 서비스, 방송형 서비스, 회의형 서비스, 하이브리드 서비스 등 다양한 유형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별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통화형 서비스
일대일(1:1) 통화형 서비스는 통화를 요청하는 행위자인 Caller(발신자)와 통화를 수신하는 행위자인 Callee(수신자)를 포함하여 총 두 명의 주체가 존재합니다. 통화형 서비스는 상담이나 통화를 목적으로 사용하며, 전문가 상담 서비스나 교육 서비스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Caller와 Callee 간 일대일(1:1) 통화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통화형 서비스
활용 분야 | 설명 |
---|---|
전문가 상담 서비스 | 심리상담, 법률상담, 명리학 상담 등 전문가 상담 서비스에 활용 가능 - 전화 이용 시보다 비용 절감, 앱의 플랫폼 능력 강화 - 해외와 국내 간 통화 지원(현재 전체 트래픽 중 상당 비중은 해외 트래픽 차지) |
교육 서비스 | 전화 영어, 교육 플랫폼 등에서 활용 가능 |
방송형 서비스
일대다(1:N) 방송형 서비스는 한 명의 송출자(Caster)가 자신의 콘텐츠를 다수의 시청자(Viewer)에게 전송하는 서비스입니다.
방송형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영상보다는 카메라 또는 화면 공유 등 여러 영상을 조합하여 전송하는 것이 특징이며, 라이브 커머스, 라이브 퀴즈쇼, 웨비나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Caster와 Viewer가 참여하는 방송형 서비스의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방송형 서비스
활용 분야 | 설명 |
---|---|
라이브 커머스 | 차별화된 저지연(Low Latency) 기술 및 라이브 커머스에 필요한 막강한 상호 작용(채팅,구매,좋아요 등) 기능 제공 |
라이브 퀴즈쇼 |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와 게임을 결합한 서비스 |
라이브 팟캐스트 | 영상이 아닌 오디오 기반의 방송 서비스 - 영상이 아닌 음성 전용 서비스 구현 가능 |
웨비나 | 웨비나 중간에 퀴즈, 설문조사 기능 등의 기능 제공 |
회의형 서비스
회의형 서비스는 다수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다대다(N:N) 회의형 서비스로, 모든 참여자가 영상을 수신하고 선택적으로 영상을 송출하는 서비스입니다.
그림회의형 서비스
활용 분야 | 설명 |
---|---|
화상회의 | 회의형 서비스 개발에 가장 최적화된 형태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로 구현한 카카오워크 화상회의 참고 |
친목형 라이브 서비스 | 회의형 서비스를 확장하여 인터랙티브(채팅, 좋아요 등)하고 엔터테인먼트 요소(게임, 가위바위보 등)가 풍부하게 들어간 친목형 라이브 서비스 - 영상이나 음성 스트리밍뿐만 아니라 게임 공간 내에서 게임 데이터를 스트리밍 하는 강력한 데이터 및 이벤트 동기화 기능 제공 |
게임 혹은 메타버스 서비스 | 게임이나 메타버스 서비스와 결합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 영상이나 음성 스트리밍뿐만 아니라 게임 공간 내에서 게임 데이터를 스트리밍 하는 강력한 데이터 및 이벤트 동기화 기능 제공 |
하이브리드 서비스
하이브리드 서비스는 위에서 설명한 통화형, 방송형, 회의형 서비스의 특징을 조합한 서비스입니다. 예를 들어, 음성 기반 회의 서비스에 일대일 통화 기능을 추가하거나, 일대다 웨비나 서비스에 일대일 통화 기능을 넣어 시청자 참여형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일대다(1:N)와 다대다(N:N) 형태를 결합한 서비스도 구현할 수 있습니다.
그림하이브리드 서비스
지원 환경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서비스의 지원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지원 환경구분 | 설명 |
---|---|
Audio Profile | - Mono / Stereo type 제공 - 16kHz~ 48kHz - Opus - Music Mode/ Voice Mode 제공(지원 예정) |
Video Profile | - H.264, VP8, VP9, AV1
- 4K까지 지원, 480p - 1080p나 10-30 FPS 권장 |
동시접속 | - 화상회의는 200-500명 권장 (영상의 평균 Bitrate와 서비스 유형에 따라 상이)
- 음성회의는 최대 500-1,000명 권장 - 방송은 2,000명 이하 권장(2,000명 이상 동시접속 시 별도 문의 필요) |
접속 성공률 | - 국가나 통신사별로 상이 - 동남아의 경우 성공률은 약 94-97% |
Android | - Android 7.0 (API 24, Nougat) - Kotlin 1.6 이상(또는 Java 18 이상) |
iOS | - iOS 13 이상 - Swift 5.6.1(Xcode 13.4) 이상 |
Web | - 지원 브라우저: Chrome, Safari, Firefox, Whale, Edge - iOS: Safari 12.2 이상, webview의 경우 14.3 이상 - Android: 모든 브라우저 및 웹뷰(Web View) 지원 |
Unity | 지원 예정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개발자 센터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개발자 센터에서 Github 소스, 샘플 앱, 개발자 커뮤니티 등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개발에 관한 유용한 개발 소스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표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개발자 센터사이트명 | URL |
---|---|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개발자 센터 | https://connectlive.kakaoi.ai/guide |
그림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 개발자 센터
관련 문서
Kakao i Connect Live 2.0 Kakao i Connect Live Quick Guide Kakao i Connect Live 개발자 가이드 Kakao i Connect Live API 레퍼런스 Kakao i Connect Live